Surprise Me!

[더뉴스] 낸시 펠로시와 중국, '어긋난 인연'의 시작은? / YTN

2022-08-03 14 Dailymotion

미국 역사상 첫 여성 하원 의장인 낸시 펠로시와 중국의 어긋난 인연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요? <br /> <br />지난 1991년, 중국 톈안먼 광장을 찾은 펠로시 의장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의정 활동 4년 차였던 펠로시 의장, 지금 화면에서 들고 있는 현수막에는 '중국 민주주의를 위해 죽어간 이들에게'란 문구가 적혀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 입문 초기부터 중국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겁니다. <br /> <br />펠로시 의장은 또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유혈 진압으로 희생된 시민들을 추모하는 성명을 낭독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산주의 국가인 중국, 그리고 공안 입장에서는 돌발행동이었죠. <br /> <br />공안은 이들을 해산시키고 기자들을 강제 연행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때부터 중국 정부는 펠로시 의장을 외교적 기피인물로 여겨왔습니다. <br /> <br />펠로시 의장은 중국의 인권 문제를 고리로 강력한 대응을 촉구해온 소신파로 알려져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중국의 인권 문제 등을 놓고 강경한 목소리를 내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2년에는 후진타오 당시 중국 부주석에게 구금된 중국·티베트 활동가들을 석방해달라는 편지를 전달하려고 했지만 상대의 거부로 실패했고요. <br /> <br />이후 주석이 된 후진타오에게 류샤오보 등 정치범들의 석방을 촉구하는 서신을 직접 전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인권 탄압을 이유로 중국에서 열리는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주도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과 올해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을 보내되 사절단을 파견하지 말자고 제안한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 올해 동계올림픽에서는 이 주장이 받아들여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중국 정부가 민주화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발생한 대규모 유혈 참사, 톈안먼 민주화 시위 33주년입니다. <br /> <br />펠로시 의장은 올해도 성명을 내고 공산당을 '억압 정권'이라고 비판했는데요. <br /> <br />또 "톈안먼 시위는 정치적 용기를 발휘한 가장 위대한 행동 중 하나였다"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30여 년 전 시작된 펠로시 의장과 중국의 악연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죠. <br /> <br />펠로시 의장의 타이완 방문에 중국은 격앙된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타이완을 향한 무력 시위를 공언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백악관은 펠로시 의장 방문이 중국 주권을 침해한 게 아니라며 중국이 과민 반응하고 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80314080387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